Miari-gogae Park
Location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Site Area 약 1,000㎡    
Client 성북구    
       
 
Memorial & Sculpture

 
 
 
미아리고개는 뚜렷한 장소성을 갖는 특별한 곳이다. 병자호란 때는 오랑캐가 넘어왔던 곳(狄踰領)으로, 일제 때는 조선인 전용 공동묘지구역으로 , 6•25전쟁 때는민족지사 납북의 현장으로 어둡고 아픈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 오늘날 전쟁을 체험한 세대는 물론 전후 세대들까지도‘단장(斷腸)의 미아리 고개’라는 애절한 노랫말이 갖는 민족의 애환을 공감하는 곳이다.

이러한 미아리고개에 대한 국민정서와 뚜렷한 장소성은 비물리적인‘심상(心象)’으로 온 국민의 마음속에 간직되어 있다. 이러한 특별한 장소에 도로가 확폭되고, 횡단교량이 설치되며 비록 소규모일지라도 자그마한 가로공원부지가 할애됨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추상적이며 비물리적인 심상으로만 존재하는 장소성을 형상화하여 시각적이며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에 담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횡단교량의 형태, 가로공원, 조형물, 절개지 등의 모든 환경요소들은 전쟁과 외침(外侵)에 얽힌 과거의 슬픈역사를 극복하고 통일된 우리 민족의 밝은 미래 이미지가 느껴지는 공간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성북구의 랜드마크(landmark), 나아가 우리 민족의 영원한 역사의 현장으로 이용되고 기억되어져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형상화 작업은 도로 양측 절개지를 성북구 휘장에 담겨져 있고 시민 누구나가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전쟁의 이미지중 하나인‘성곽(城郭)’의 형태로 표현하였으며, 오래된 역사의 흔적이 배어있는‘성(城)’을 현대적 구조미(構造美)를 갖는 날렵하고 단순한 교량으로 이어지게 함으로써 단순한 기능적 교량이 아니라 시간과 사건의‘다리’로서 연결시켰다.

사적비와 노래비, 부조벽 등의 상징조형물은 성곽 및 교량의 규모와 경쟁 관계가 아닌 조형물 자체의 함축적 의미를 담고자 하였다. 즉 전쟁으로 인한 분단(分斷)의 슬픈 역사와 앞으로 멀지않은 장래에 이루어질 민족통일의 염원을 담아 성곽 아래 반 실내공간에‘통일 염원의 장’을 조성함으로써 작지만 의미있는 메모리얼을 조성할 수 있었다. 이것은 협소한 부지의 공간 이용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흥미로운 제안이었다.

Miari Hill is a special place in a distinct location that holds a dark and painful history. During Byeongja Horan (Manchu Invasion of 1636), it was a place where barbarians climbed over to invade Korea,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it was a public cemetery for Koreans. It also was the site where democracy activists were kidnapped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Along with the generation that experienced wars,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all share the joys and sorrows expressed in the sad lyrics of the song “Heartbreaking Miari Hill.”

Such national sentiments about Miari Hill and the distinct location are kept in the minds of Koreans. The fact that roads were widened and a crossing bridge and small street park were built holds significance. It means that a place that existed as an abstract and mental imagery became a physical space with shape and visuality that one can actually experience.

Accordingly, all surrounding factors such as the crossing bridge, street park, sculpture and cut slope should form a space where one can feel the bright future of the Korean people as they overcame the sad history of foreign invasion. The Miari Hill should be used and remembered as a landmark of Sungbuk-gu and an everlasting place of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e specific formation work is expressed as a fortress which many people can easily relate to as one of the images of war. The fortress that holds the traces of long history is connected to a simple bridge that has a modern structural beauty that is not only a physical bridge but a bridge that connects different times and events.

The symbolic sculptures like historical monuments, song monuments and memorial walls do not compete with the fortress but rather act as a bridge in terms of scale and hold implications of their own as they express the history of war and hold the hope for reunification. We wanted to efficiently use small space by creating a ‘space of the hope of reunification’ in a half indoor area under the fortress.

   
 
SYNWHA Landscape Architecture Environmaental Design Land Planning
   
News
   
                                              Projects
 
Synwha